본문 바로가기
캠핑, 여행의 딴생각

2012년 11월, 영감님들과 함께한 구이산 캠핑

by 그럴껄 2012. 12. 4.
반응형

어머니는 아직도 내가 법대에서 국문과로 전과한 것을 두고 병직이 형님이 형소법 겸임교수로 왔기 때문에 쪽팔려서 도망친게 아닐까라고 생각하시지만 사실, 난 잔인한 학문에 권태를 느꼈기 때문이었다.

형법에서 배우는 살인, 강간, 강도, 상해하며 민사에서 매일 봐야되는 사기, 횡령, 폭행에 아버지아 아들의 재산싸움, 자식간의 땅싸움, 엄마와 딸 간의 유산 소송 등을 보다 못해 외워야 하는 학문은 내 취향이 아니었다.

밤하늘의 별을 보며 신화의 시대를 그릴 자신은 없었지만 천 년전 이규보처럼 '이'까지 사랑할 자신은 있었다. 브리짓드 바르도 고마워, 덕분에 슬견설을 더 사랑하게 되었어.

하지만,

법대에서 배운 한자의 3할도 못써먹는 게 고전문학이었다는 것은 함정. 황지우가 '빛띠, 나는 그걸 음악이라고 생각한다'라고 압축할 재능도 없었고 김훈의 '버려진 섬에(도)는 꽃이 피었다'로 고민할 감수성도 없었다. 내일은 없었고 오늘 마실 소주 한 잔과 누워잘 내 자리만 있으면 정처없이 나풀거리며 시간을 낭비하며 살았다.


문예창작실기론으로 수업이름을 기억하는데 정확하지는 않다.

복학생에 나이 많다는 이유로(나의 주관적인 판단에 따르면) 박경덕 선생께서는 국문과 전과 이후 처음 나에게 A+를 주셨고 (물론 수업 중간에 같이 맞담배 폈던게 아주 주효했던 것 같다) 그 인연은 지금도 이어지고 있다.

난 그 은혜를 어떻게 값을지 몰라 내 결혼식에서 첫 주례 스타트를 끊으실 수 있도록 배려해 드렸다. 그 공작을 위해 청첩장 50장을 따로 만들어 맨 첫줄에 "박경덕 선생님을 모시고"라는 문구까지 새겨야 했다. 선생님은 영화 '나비'에서 김민종이 입었던 빤짝이 은갈치 양복과 당시에는 흔치 않았던 PDA로 하객들의 기를 죽이며 아직도 기억에 남는 주례사로 복수해 주셨으니.....


그 마음의 빚을 아직도 이렇게 갚고 있는 중이다.


 

장고형님에게 부탁하여 하루 전세로 빌린 구이산.

난, 이 산이 너무 사랑스럽다.

전생에 여기 어디서 멧돼지로 살았던 거 같아.



내열유리가 깨져서 약간 찐따가 된 페트로막스는 나보다 11살이 많다는 게 믿기지 않을 정도로 쌩쌩 하심.



위팬 전대에 이어 두 번째로 붉을 밝히는 곰바우.

SPS 너무 편하고 좋은데 나무먹는 저 짜릿함을 어떻게 잠깐의 편리와 바꾸냐고.

불만 보면 미친듯이 시계바늘이 날라간다.



다들 아시겠지만 제 텐트 내부에는 '정리'와 '정돈'이는 가출중이에요.



곱게 마른 장작은 제 몸을 태울 때 요란하지 않다. 

오직 덜 마른 장작이 불똥을 튀며 부산하다. 

나님 나이를 똥구멍으로 먹어 아직 부산하고 요란하다. 

장작에게 배워 사람 좀 되고 싶다



다음날, 노인네들 만나뵐 채비나 하자.



안녕, 나는 주인 잘못만난 홀릭이라고 해.

주인새끼가 더러워서 내 영혼도 더러워지는 것 같아.

아무래도 난 텐트를 잘못산 거 같다. 텐트가 자꾸 날 욕해.




아침나절에 산책도 좀 하고.

여기는 자연 취수장.

구이산 와본 분들은 눈에 익을 듯.




붕붕이가 겨울에 꼭 가자고 했던 언덕.

저기 눈 쌓이면 스키탄다고 단단히 벼르고 있다.




영감님들 도착.



도착하자마자 꺼내시는 술.




안녕, 난 수정방이라고 해.

숨 한번 쉬니 빈병만 남았네.




정관용 선생님은 빨간 신상 다운파카를 하나 구비하셨다.

난 축하해 드리기 위해 물먹은 장작은 다섯 개 더 넣었지.

다운파카는 통풍이 생명이니까.




오랜만에 책을 잡으신 주홍미 실장님.

무려 5분간이나 정독하심.



혹시몰라 실내에는 장작 몇개 넣어 놓고.



목살로 초저녁을 준비했다.

나님, 전생에 멧돼지 아닌거 같아. 푸줏간 주인이었던 듯.



내가 다소곳 할 때는 

고기 썰 때와

소녀시대 만날 때 밖에 없음.

아, 마누라 한테 혼날 때....



김문생 감독님은 집에서 뻬치카 떼는 실력으로 

영혼이 담긴 도끼질을 시전 하셨다.


그리고

고기를 굽기 시작하자

시간이 워프하기 시작했다.


생태탕 먹을 때 다들 정신줄 놓고 

낙지님 올라오실 때 되어서야 정신이 돌아옴.

정관용 선생님의 불꽃을 두려워하지 않는 낙지사랑



매운 것 외면하시는 김문생 감독님.



안녕, 나는 무안 뻘낙지라고 해.

내 영혼은 259개의 빨판과

하나의 주뎅이로 되어있지.



오늘의 쉐프로 영혼을 다해 음식을 만들어 낸 국도.

수고했다.


그리고 새벽 4시까지 이어진 끝없는 이야기.

노자에서 맹자까지

대한민국 공연기획의 미래와

대선특수에 따른 진행자 출연료 상승문제와

베르나르 베르베르의 애니메이션과

한 망나니의 영혼이 담긴 개사료와


각자의 꿈이


구이산 계속 속으로 다 흩어져 들어갔다.







고생한 자들의 최종 정리후 마지막 샷.


"니들은 구하라의 어디가 좋으니?"

"난 저 이마"

"전, 저 입술이..."


'음.... 난.....'

국도가 가리킨 곳은 여기서 막 쓸 수 있는 위치가 아니었다.






막짤은 붕붕이.

완전 외탁.



우아앙.

애비가 돈 많이 벌게. 넌 공부밖에 없다. 이놈아. 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반응형